<p></p><br /><br />아는 기자, 아자 시작합니다. 정치부 이현수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. 선관위, 사전투표 이후에도 매뉴얼대로 했다고 하더니, 잘못을 인정은 한 겁니까? <br> <br>어제 밤 2차 사과문에 이어 오늘 브리핑에서도 중앙선관위는 "깊이 사과드린다"며, 잘못을 인정했습니다. <br> <br>다만, 책임있는 인사의 별도 입장표명은 없었습니다. <br> <br>Q. 중앙선관위원장은 어제 출근도 안 했다던데, 오늘도 사과를 안 한 거죠? <br> <br>노정희 선관위원장, 오늘 출근길에서도 사과는 없었습니다. <br><br>[노정희 / 중앙선거관리위원장] (오늘, 출근길) <br>"(사전선거 부실 설명?) 우선은 본선거 대책 마련에 집중하도록 하겠습니다. 다른 말씀은 다음 기회에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(회의 주요 안건은?) .... (국민에게 사과 말씀은?)...."<br> <br>내일 정오에 노 위원장이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는데요. <br> <br>그때는 사과를 할지 지켜봐야 할 듯 합니다. <br> <br>Q. 정확히 누구 책임이에요? 선관위원장 책임인가요? <br> <br>사전투표에 확진자들이 대거 몰릴 것을 예측못하고 안일하게 준비한 선관위 책임이 가장 커보이는데요. <br> <br>확진·격리자의 투표방안이 어떻게 결정됐는지, 과정을 보면 청와대와 정부, 국회도 공동책임을 피하기 어려워보입니다. <br><br>지난달 8일 문 대통령의 지시에 선관위가 국회에 자신만만하게 보고를 했습니다. <br> <br>'확진자들은 대선 당일 오후 6시부터 7시30분까지 투표'하는 선거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해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공포됩니다. <br> <br>그리고 선관위가 지난달 25일, 확진자 투표관리특별대책을 발표하는데 이 때 확진자들에 대한 사전투표를 3월 5일 실시한다는 내용이 처음 포함됐습니다.<br> <br>이 과정에서 정부, 청와대, 국회 모두 선관위의 보고를 받았는데요. <br> <br>그 과정에서 임시기표소 투표한다는 내용을 모두 인지했지만, 직접투표원칙 위배 논란은 모두 예측하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Q. 김부겸 국무총리도 확진됐기 때문에 사전투표 했잖아요. 김 총리도 투표함에 하지는 않았을 거 아닌가요? <br><br>그제 확진자 사전투표를 한 김부겸 총리의 모습을 볼까요.<br><br>김 총리, 자신의 표를 투표사무원이 들고 있는 투명 비닐봉투 안에 자연스럽게 넣고 있죠. <br> <br>정부차원에서도 직접 투표함에 용지를 넣지 않는데 대한 문제의식이 없었던 걸로 보입니다.<br> <br>Q. 논란이 된 사례들 어떻게 처리하기로 했는지 구체적으로 볼게요. 누구 찍었는지 공개된 투표용지들 있잖아요. 그건 인정해줍니까? <br><br>유권자가 스스로 투표지를 공개하는 등의 무효 사유가 아닌 이상 유효로 인정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선관위가 파악한바로는 세 곳, 서울과 대구, 부산에서 8장의 투표용지가 투표사무원의 실수로 공개됐는데요. <br> <br>그런데 서울과 부산에서는 현장에서 유효로 인정하기로했고 대구에서는 무효로 처리하기로 해서 논란이 됐습니다. <br> <br>다만 유효표로 인정하기 위해선 선관위 전체회의 의결이 필요합니다.<br> <br>Q. 시정차 질문인데요(유튜브 : 권**). 사전투표 때 투표 용지를 출력했는데, 기다리다가 그냥 본투표 때 하겠다고 안 하겠다고 간 분들, 그 분들은 투표할 수 없는 건가요. <br> <br>기본적으로 1인 1표제라 내 이름으로 투표용지가 인쇄된 기록이 있다면 본투표를 할 수 없는 게 원칙이긴 합니다. <br> <br>다만 선관위는 최대한 상황을 하나하나 파악해서 신원확인 등 특정이 되면 본투표도 가능하게 허용하겠다고 밝혔는데요. <br><br>경우의 수를 정리해봤는데, 확진자로 신분확인은 했는데 투표용지를 인쇄하지 않은 경우, 당연히 본투표가 가능하겠죠. <br> <br>신분확인하고, 투표용지를 인쇄하긴했는데 추운 야외에서 너무 오래 기다리다가 '못하겠다'하고 돌아가신분도 있을거고, 다양한 상황이 있을 건데요. <br> <br>다만, 현재 여기에 해당되는 유권자가 몇명이나 되는지 집계가 안된 상황이라 선관위가 과연 대선을 이틀 앞두고 현실적으로 모든 상황을 다 파악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.<br> <br>Q. 오늘 본투표 대책을 발표했는데, 모레 본투표 때는 확진자 투표 별 문제 없을 것 같나요? <br> <br>여전히 확진자들이 장시간 대기하는 일이 재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> <br>본투표 당일 확진자들이 투표소에 몰릴 경우 일반선거인들과의 동선 분리를 위해서 별도의 장소에서 대기해야합니다. <br> <br>여건에 따라 외부에서 대기해야할 가능성이 높고 일반선거인들 투표가 오후 6시에 딱 종료되기는 힘들어서 추운 곳에서 장시간 기다릴 수 있습니다. <br> <br>대기시간이 길어져 확진자들이 투표 자체를 포기할 경우 투표율이 떨어질 수도 있죠. <br><br>다만 선관위는 사전투표소는 3500여개지만 본투표소는 1만 4천여 개에 달하고, 사전투표와 달리 본 투표는 자신의 주소지 관할 투표소에서만 투표가 가능하니 사전투표 때만큼 혼잡하지 않을거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.<br> <br>Q. 여야 가릴 것 없이 선관위를 비판하고 있는데, 속내는 조금 다를 것 같기도 하고요. <br> <br>여야 모두 '부정선거'보다는 선관위의 '부실관리'를 질타하고 있지만, 온도차가 있습니다. <br><br>[송영길 / 더불어민주당 대표] (MBC라디오 '김종배의 시선집중') <br>"워낙 확진자가 늘다 보니까 투표관리하시는 분들이 확진자와 접촉하기를 꺼리고 거리를 너무 둬서 기표소와 투표함 거리가 너무 멀어지다 보니까 가방에 넣어서 옮기고 이런 해프닝이 발생했습니다."<br> <br>[김기현 / 국민의힘 원내대표] <br>"확진자 투표 절차는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문재인 정권의 부실관리 그 자체였습니다. 국민들 앞에 문재인 대통령이 사과를 해야 마땅할 사안입니다."<br> <br>야권 지지층 결집을 우려한 여당은 '관리 미숙' '해프닝'으로 해석하는 반면, 국민의힘은 현 정부와 함께 싸잡아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지금까지 정치부 이현수 기자였습니다. <br><br>